얼마되지도 않는 월급인데 이번달도 지출이 많네요.. 열심히 일해서 번 돈인데 각종 세금에 보험료까지 빠져나가면 얼마나 남는거지 눈물이 또르르.. 그런데 내 월급에서 세금을 떼면 실수령액이 얼마가 되는걸까요. 월급 세금 계산기를 이용하면 쉽게 계산 해볼 수 있습니다.
월급 계산할 수 있는 사이트 중에서도 취업정보를 확인하는데 도움이 되는 커리어 홈페이지에서 확인하는 방법을 소개해드릴게요. 일단 홈페이지에 방문하면 가운데 커리어 TOOL이라고 많은 분들이 이용하는 메뉴가 나오는데 여기서 급여계산기를 클릭하시면 돼요. 글자수 세기나 학점변환 같은 유용한 기능이 많으니 필요할 때 이용해 보세요.
급여계산기를 클릭하니 바로가기 되네요. 이제 자신의 예상 또는 현재의 연봉과 월급 중 선택하여 입력하면 세금은 제외된 실급여를 확인할 수 있어요. 월급을 선택하고 부양가족수, 월급을 입력후 계산을 합니다. 부양가족수는 본인포함 부양하는 가족의 수를 입력하면 되는데 혼자 산다면 1명이라고 입력하고 월급도 입력해주세요.
국민연금이나 건강보험, 고용보험 등 복잡해 보이지만 월급 세금 계산기를 이용하면 자동으로 계산을 할 수 있으니 걱정하지 마세요. 그래도 관련 용어는 미리 알아두는 것이 좋은데요 사이트 아래 자세하게 설명이 되어 있으니 꼼꼼하게 읽어봅니다. 비과세에는 식사대, 출산.보육수당, 국외근로소득, 야근근로수당 등이 해당되는 돼요.
국민연금의 경우 사업주 근로자 모두 4.5% 공제 하며 건강보험료는 3.035%, 장기요양보험은 건강보험 금액의 6.55%가 공제됩니다.
국민연금 9% (근로자 4.5%, 사업주 4.5%) 2015년 기준
건강 6.07% (근로자3.035%,사업주3.035%) 2015년 기준
장기요양 건강보험 금액의 6.55% 2013년 기준
고용 (근로자 0.65% 사업주 0.70%)
만약 월급이 삼백만원이고 부양가족수가 없을 경우 세금과 보험료로 얼마가 나가는 걸까요. 계산기에 월급 300만원을 입력하여 계산해보니 예상 실 수령액 2,678,250원으로 나왔습니다. 월급에서 공제되는 금액 321,750원이네요. 그런데 계산기가 두루 쓰이는 범용적 기준이라서 약간의 오차가 발생할 수 있어요.
비과세액의 경우 회사마다 기준이 다른데 커리어 계산기에서는 기본식대 10만원으로 설정되어 있어요. 정확히 알고 계시다면 직접입력을 하시면 됩니다. 월급 세금 계산기를 이용하면 직접 계산하는 것보다는 빠르고 쉬운데다 월급을 관리하는데도 도움이 되니 한번 확인해 보세요.
'경제 정보 > 유용한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컴퓨터 알람시계 이용 방법은 (0) | 2015.09.29 |
---|---|
자동차 검사기간 조회 방법과 과태료는 (0) | 2015.09.27 |
해군 복무기간 지원자격 알아봐요 (0) | 2015.09.18 |
코엑스 주차요금 할인 혜택 대상자는 (0) | 2015.09.17 |
할인계산기 이용해서 할인율 계산 (0) | 2015.09.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