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번조회 하는 방법 찾았어요

반응형

자신의 군번을 기억하지 못해서 필요한 증명서 발급에 어려움을 겪지 않도록 군번조회 방법을 알아두면 어떨까요. 많은 분들이 전역 또는 입영일자와 군번을 알아보기 위해 행정기관에 방문하거나 전화로 상담을 받는데요. 편하게 인터넷으로도 조회를 할 수 있습니다.

 

 

인터넷으로 군번을 확인할 수 있다니 처음에는 믿어지지 않았는데요. 초기에는 1976년 이전 전역한 사람은 확인할 수 없었는데 현재는 창군이래 육군에 입영하여 군번을 부여 받고 전역한 사람은 누구나 조회를 할 수 있게 되었더라고요. 집에서 자신 또는 할아버지, 아버지의 군번을 편하게 확인해보세요.

 

 

병무청 홈페이지를 이용해서 알아보면 민원마당> 민원신청> 예비군 .전역자 민원> 군적역일자/ 군번조회를 클릭하여 확인할 수 있는데요. 개인정보보호를 위해 주민번호를 입력한 후 공인인증서 로그인을 해야 합니다. 조회를 하면 입영일자, 전역일자, 군번을 알수 있습니다. 평생 외우고 있을 것 같지만 바쁘게 생활하다보면 잊을 수 있으니 궁금한 분들은 찾아보세요.

 

 

 

 

또다른 방법으로 전역자 군번찾기 조회사이트를 이용하는 건데요. 사이트에 접속하여 실명 또는 아이핀 인증을 하고 제대 당시의 출신신분, 주민번호를 입력하면 군번을 찾을 수 있습니다.  84년 이전에 전역한 분이라면 육군 병적에 주민등록번호가 없기때문에 생년월일로 조회 하며 85년 이후에 전역한 분들은 주민등록번호로 조회할 수 있습니다.

 

 

신분은 장교, 부사관, 병, 방위병, 군무원, 하사관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장교는 준사관을 포함하고 있고 부사관의 경우 67.3.30일 이전일 경우 병으로 확인하셔야 합니다. 하사관은 67.3월 이전 하사관 신분일 경우에 선택하세요.

 

 

집에서도 군번과 전역일자 등을 알 수 있다니 정말 편해졌는데요. 이 외에도 편한 기능들이 많이 생겼더라고요. 예를 들어 전역일이나 진급일도 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포털사이트에 전역일 계산기라고 입력한 후 입대일/ 군별을 선택 계산하면 남은 복무일수를 알 수 있습니다.

 

 

2015.02.07에 입대한 육군의 경우 총 복무기간은 1년 9개월이며, 현재까지 복무한 일은 207일, 남은 복무일은 431일 입니다. 군번조회는 물론 전역일도 인터넷으로 편하게 확인할 수 있으니 궁금한 내용이 있을 때는 편하게 검색하고 찾아보세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