콧물이 나오는 이유는 생각보다 다양한데요. 흔히 계절이나 질병에 영향을 받으며 그 원인을 알고 있으면 대처하기가 쉬워집니다. 일반적으로 무색인 콧물이 노랗게 나오는건 무슨 질병 때문일까요. 뜨거운 음식이나 매운 음식을 먹으면 왜 콧물이 나오는 걸까요. 콧물이 나오는 이유를 확인하고 멈추는방법으로 조금이라도 빨리 해소할 수 있었으면 합니다.
하는 일부터 알아보면 이물질이나 바이러스 등이 체내에 들어오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해줍니다. 공기 중에 있는 세균이나 먼지가 호흡을 통해 코 속으로 들어왔을 때 그것들을 씻어내기 위해 분비가 됩니다. 보통은 매우 적은 양이 분비되며 자연히 삼키게 되지만 콧물이 나오는 이유 중 하나인 감기에 걸리면 많은 바이러스를 제거하기 위해 많은 양이 나오게 됩니다.
날씨가 추우면 콧물이 나오게 되는데요. 이는 코, 목 등을 건조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작용이며, 차가운 공기로 인해 코 점막이 자극 되어 나오는 경우도 있습니다. 겨울철에 많이 나오는 것은 자연스러운 현상으로 고민하지 않아도 됩니다.
뜨거운 국물 음식을 먹는 것도 콧물이 나오는 이유 중 하나인데요. 뜨거운 공기가 폐에 직접 들어가는 것을 막기 위한 방어 반응이라고 합니다. 공기의 온도를 낮추려고 방어 반응이 일어나게 된 결과랍니다. 찬 공기와 뜨거운 공기가 갑자기 페에 들어가지 않도록 조정하는 역할 도 하고 있어요.
가장 흔한 이유로는 감기가 있어요. 바이러스나 세균 등이 몸 안에 들어오면 우리몸은 그것을 밖으로 배출하려는 방어 반응이 일어나게 됩니다. 감기 바이러스는 코와 목으로 들어오기 때문에 코점막이 강한 자극을 받아 코막힘이 발생하고, 바이러스를 제거하기 위해 콧물이 나오게 됩니다.
감기에 걸렸을 때 나오는 콧물은 시간이 지나면서 색상이나 끈기에 변화가 생기는데요. 처음에는 무색 투명하지만 감기 증상이 심해지면 노란색을 띠고 끈적해집니다. 이는 바이러스가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삼키지 말고 푸는 것이 좋으며, 충분한 휴식을 취하고 균형잡힌 식사를 통해 면역력을 길러 감기를 치료해야 합니다.
알레르기성 비염으로 인해 콧물이 나오는 경우도 있어요. 무색 투명하며 끈기가 없고 양이 많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몸에서 이물질을 제거하려고 하는 반응으로 꽃가루, 진드기, 먼지 등으로 원인 물질을 제거하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비염이 원인이라면 청소와 환기에 신경을 써야 하는데요. 애완동물 털이나 비듬, 집 먼지, 꽃가루 등이 원인이 되기 때문에 자주 청소를 하고 공기 청정기 등을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꽃가루, 미세먼지 등이 심한 날엔 외출과 환기를 삼가주세요.
코 질환 중 하나인 축농증으로 인해 나올 수 있습니다. 축농증일 경우 걸쭉한 황록색의 콧물이 나오게 되는데요. 코 안에 쌓여 있던 고름이 함께 나오기 때문에 노랗고 끈적한 특징이 있습니다. 바이러스나 세균을 밖으로 배출시키기 위한 방어반응이라서 바로 풀어주는 것이 좋아요.
집중력을 저하시키고 수면을 방해하는 콧물을 멈추게 할 수는 없는 걸까요. 따뜻한 수건으로 코를 따뜻하게 감싸면 혈액순환이 잘 되고 막힌 코를 뚫어주는 효과를 볼 수 있어요. 외출해 있을 경우에는 경혈을 눌러주면 좋은데요. 콧방울 바로 옆이나 양 눈썹사이 가운데를 지압해주시면 됩니다.
콧물이 많이 나오면 체내 수분도 줄어들어서 물을 많이 마시는 것이 좋은데요. 단순히 물을 마시는 것이 아니라 입에 머금고 몇 분 후에 삼키면 증상을 완화하는데 효과가 있습니다. 좀처럼 멈추지 않아 답답할 땐 코세척을 하면 도움이 되는데요. 식염수를 이용해서 할 수 있으며 꼭 올바른 방법을 확인하여 시도해야 합니다.
그 밖에 페트병을 겨드랑이에 끼우는 콧물을 멈추는방법도 있어요. 민간요법으로 교감신경이 자극되어 막힌 코가 뚫린다고 합니다. 콧물이 나오는 이유 대부분이 감기 때문이라고 하니 평소 규칙적인 식생활습관으로 면역력을 높이고 날씨가 안 좋은 날엔 마스크를 챙길 수 있었으면 합니다.
'건강 정보 > 건강 챙기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장암 3기 생존율 예방법 (0) | 2016.07.03 |
---|---|
멍이 잘드는 이유 질병은 (0) | 2016.06.28 |
위암 3기 생존율 증상 (0) | 2016.06.26 |
잠이 많아지는 이유 대처법 (0) | 2016.06.25 |
허리디스크 다리저림 증상 (0) | 2016.06.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