갱년기 우울증 증상은 아닐까 의심된다면 자가진단을 해보고 서둘러 대처할 수 있었으면 합니다. 여성은 남성보다 우울증에 걸릴 확률이 높다고 하는데요. 그 이유는 결혼과 출산, 환경의 변화가 남성보다 많기 때문이라고 해요. 또 한가지가 더있는데 갱년기 호르몬 변화로 인해 우울증에 걸리기 쉽습니다. 혹시 갱년기 우울증 증상인가.. 무기력하고 쉽게 좌절하며 식욕이 저하된다면 의심해 볼 수 있습니다. 만약 갱년기 증상 중 하나인 우울증일 경우 어떻게 대처해야 하는 걸까요.. 그 방법을 소개해드리겠습니다.
중년 여성에게 나타나는 갱년기 우울증 증상을 알아보기 전에 갱년기에 대해 알아두세요. 갱년기는 난소의 기능 저하가 발생하는 폐경 전후의 시기로 일반적으로 45~55세 정도입니다. 난소의 기능이 저하되면 여성호르몬인 에스트로겐의 분비가 감소하면서 각종 갱년기 증상이 나타나게 되는데 우울증 또한 그 중 하나입니다.
발생할 수 있는 갱년기 증상으로는 안면홍조, 발한(체온이 오르고 땀이 남), 불면증, 두통과 요통, 어깨 결림, 이명 등의 신체 증상이 있습니다. 또한 초조함, 불안감, 무기력, 의욕저하, 집중력 저하, 우울증 등의 정신적인 증상도 갱년기가 되면 나타납니다.
일반적인 우울증 증상과 갱년기 우울증 증상을 구분할 수는 없을까요. 일반적인 우울증과 큰 차이가 없지만 갱년기 우울증의 경우 홍조, 발한, 두통, 빈뇨, 가슴두근거림 등의 증상을 동반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평소 우울증을 앓던 분의 경우 갱년기에 더 심해 질 수 있으니 주의해주세요.
왜 경년기에 우울증에 걸리기 쉬운 걸까요. 갱년기에는 여성호르몬인 에스트로겐의 분비량이 급격하게 줄어 들기 때문인데요. 호르몬의 균형이 깨지면 자율신경계 조절에 문제가 생겨 스트레스에 약해지고 감전 컨트롤이 어려워집니다.
갱년기 우울증은 호르몬 불균형 뿐만 아니라 환경의 변화도 영향을 끼치는데요. 자녀의 결혼이나 독립, 친척이나 가까운 사람의 죽음, 자신이나 가족의 질병과 병간호, 노후 생활에 대한 불안 등이 갱년기 증상인 우울증에 영향을 끼칩니다. 지금까지의 생활 환경이 달라지고 신체적 변화도 생겨서 마음이 약해지기 쉽습니다.
마음에 병이 생겨도 갱년기니까 어쩔 수 없지.. 라고 넘기는 분들도 있는데요. 갱년기에는 신체적으로 불편한 증상도 많아서 우울증이 더 악화되기 쉽기 때문에 조기 발견과 치료가 중요합니다. 만약 아래 진단 기준에 해당한다면 상담을 받아보는 것도 좋습니다.
갱년기 증세 우울증 자가진단하기
매일 심하게 우울합니다 (이유없이 우울)
즐거운 일이 없고 무기력합니다
지친 느낌이 듭니다
감정기복이 심합니다 (성격이 변한 것 같다)
식욕이 저하되었습니다
자신을 지나치게 비난합니다
불면증이 있습니다
집중력이 떨어지고 결정 내리는 것이 힘듭니다
최악을 생각을 합니다
5가지 이상 해당되고 2주 이상 지속되고 있다면 가능성이 높습니다
그대로 두면 위험한 우울증은 어떻게 치료해야 할까요. 갱년기로 인한 우울증 치료 방법은 여러가지 인데요. 호르몬 밸런스의 불균형이 원인이라면 호르몬 대체 요법을 시행할 수 있으며, 항우울제를 처방 받을 수도 있습니다. 그 밖에 인지 행동 치료와 운동, 음식 등이 증상을 개선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약물의 경우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어서 운동과 음식으로 극복하는 것이 좋은데요. 적당한 운동과 균형잡힌 식사를 할 경우 뇌에 행복감을 주는 물질인 세로토닌을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세로토닌은 행복 호르몬이라고 하는 신경전달 물질로 갱년기 증상인 우울증에 개선에 도움을 줍니다.
세로토닌을 증가시키는데 도움을 주는 영양소는 트립토판과 비타민B6로 이 두가지 영양소를 함께 섭취했을 때 생성이 활발해집니다.
트립토판이 많은 음식- 붉은 고기, 두부, 두유, 된장, 요구르트, 견과류, 달걀, 바나나
비타민B6가 많은 음식 - 마늘, 파스타치오, 참치, 육류의 간, 멸치,고등어
몸의 변화는 물론 마음에도 변화가 발생하기 쉬운 갱년기 우울증 증상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갱년기 특유의 증상이 심할 경우 우울증에 걸리기 쉽다고 하니 무심하게 넘기지 마시고 개선하려는 노력을 할 수 있었으면 합니다. 호르몬 대체 요법의 경우 빠른 해결법이지만 너무 의존하면 효과가 감소하고 부작용으로 고생할 수 있으니 갱년기 증상에 도움이 되는 운동을 꾸준히 하고 세로토닌을 증가시켜 우울증을 해소해주는 음식을 섭취할 수 있었으면 해요.
'건강 정보 > 건강 챙기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배가 살살 아파요 이유 (0) | 2017.01.17 |
---|---|
눈이 침침해지는 이유 질환 (0) | 2017.01.13 |
콜레스테롤이란 LDL HDL (0) | 2016.12.27 |
왼쪽 갈비뼈 안쪽 통증 질환 (0) | 2016.12.13 |
코감기빨리낫는법 모음 (0) | 2016.12.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