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도선 부었을때 빨리 낫는법 없을까요. 편도선이 부으면 침을 삼키거나 식사를 하는 것이 힘들고 집중력도 저하되는 등 불편한 점이 많은데요. 때문에 편도선 부었을때는 이비인후과에서 빨리 진찰을 받고 치료를 하는 것이 좋습니다. 하지만 일이 바빠서 시간을 내기 어렵다면 집에서 편도선 붓기를 가라앉히는 방법을 실천하는 것도 효과적입니다. 부었을때 도움이 되는 음식과 예방법도 확인해 두세요.
갑자기 편도선 부었을때 의심할 수 있는 원인을 알아두세요. 편도선은 감기와 피로, 스트레스로 인한 면역력 저하로 부을 수 있습니다. 건조함, 급격한 온도의 변화 등도 편도선을 붓게 하는 원인으로 목이 건조할 경우 바이러스가 쉽게 번식하여 붓고 통증이 생기기 쉽습니다.
스트레스와 피로가 쌓여 면역력이 저하되는 것도 편도선이 붓는 이유로 충분한 휴식을 통해 피로를 풀어주는 것이 필요합니다. 감기, 급격한 기후 변화, 과로, 흡연, 스트레스 등이 원인이 되니 자주 붓는 분들이라면 주의해주세요.
건조함으로 인해 편도선 부었을때 마스크 착용하기
감기로 인한 편도선염일 경우 바이러스를 가족에게 옮기지 않기 위해서라도 마스크를 착용하는 것이 좋으며, 마스크를 착용하면 호흡기가 건조해지는 것을 막아 부었을때 통증 개선에도 도움이 됩니다.
가습기를 사용해 실내 습도 조절하기
가습기를 사용해 적정 습도를 유지하는 것도 편도선에 도움이 되는 방법으로 가습기가 없을 경우에는 젖은 수건을 옷걸이에 매달거나 머리맡에 물컵을 두면 좋습니다.
(호흡기 점막이 건조해지면 바이러스와 세균에 대한 방어능력이 저하되어 편도선염 등 호흡기질환에 쉽게 걸릴 수 있어요. 때문에 겨울철에는 수분 보충, 가습기, 마스크 착용이 중요합니다. )
편도선이 부었다면 양치질을 신경쓰기
양치질을 하는 것만으로 편도선염 증상을 어느정도 완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살균 작용도 기대할 수 있어요. 자주 편도선염에 걸린다면 양치 후 소금물로 가글을 하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편도선이 아프고 부었을때 먹으면 좋은 음식
편도선염으로 목이 아플 경우 사탕이나 아이스크림이 도움이 되는데요. 목이 부어 잘 먹지 못하면 기운이 없기 때문에 아이스크림이나 사탕이라도 섭취하는 것이 좋습니다. 단, 만성환자일 경우에는 찬음식을 피해주세요.
목감기에 좋은 꿀먹기
목에 염증이 생겼을 때에는 꿀이 좋다고 하는데요. 꿀은 강한 살균 작용이 있어서 예로부터 구내염 치료와 기침 치료에 자주 사용되었습니다. 그대로 한숟가락 천천히 녹여 먹는 것도 좋은데 무를 함께 섭취할 경우 효과가 더욱 좋아집니다.
무가 편도선에 좋은 음식일까? 무의 매운맛 성분인 이소티오시아네이트가 소염 작용이 있어서 염증으로 목이 아플때 증상을 완화할 수 있습니다. 편도선염뿐만 아니라 호흡기 질환에 좋은 효과가 있어요.
부었을때 도움되는 꿀무즙 만드는 방법
1. 무를 1cm 크기로 깍뚝 썰어주세요
2. 병에 무를 담고 무가 잠길 정도로 꿀을 넣어주세요
3. 3시간 정도 두면 무에서 수분이 나와 시럽처럼 됩니다
4. 편도선이 아플때 한 숟가락 먹습니다.
완성된 꿀무즙은 하루에 3번 1숟가락 떠서 먹으면 통증, 기침에 효과적이에요.
편도선이 부었다는 것은 피로와 스트레스가 쌓여 몸의 저항력이 저하되었다는 것이랍니다. 면역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균형잡힌 식사, 충분한 수면 등 생활습관을 검토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과음과 흡연 또한 편도선염을 일으키기 쉽기 때문에 건강을 위해서라도 적당히 마시고 금연을 하는 것이 좋습니다.
충분히 수면합니다
방이 건조해지지 않도록 합니다
비타민C를 섭취합니다
금연합니다
불편하고 답답한 편도선 부었을때 위 방법을 실천했지만 증상이 나아지지 않고 열이나고 심해진다면 주저하지 말고 병원에서 진잘 받아보는 것이 좋습니다. 몸이 건강한 상태라면 편도선염이 크게 문제되지 않지만 면역력이 저하되어 있을 경우 염증이 심해지고 중증화 될 수 있어요 또한 약으로 편도선염 증상을 가라앉혀도 불규칙한 생활을 하고 피로를 쌓아두면 편도선염이 반복 되니 주의해주세요.
'건강 정보 > 건강 챙기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BMI지수 계산기 활용법 (0) | 2017.02.10 |
---|---|
백내장수술후 시력회복기간 주의사항 (0) | 2017.02.08 |
당화혈색소 정상치 범위 (0) | 2017.01.25 |
배가 살살 아파요 이유 (0) | 2017.01.17 |
눈이 침침해지는 이유 질환 (0) | 2017.01.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