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장판막증 증상에 대해 알아두고 조기에 대처할 수 있었으면 합니다. 심장 혈관질환이라고 하면 대부분 협심증, 심근경색 증상을 떠올리는데요. 사망자 수가 많기 때문에 당연한 것이지만 의외로 심장판막증 증상을 가지고 있는 환자도 많습니다. 심장판막증의 대표적인 증상으로는 가슴 두근거림, 호흡곤란, 흉통 등이 있으며 대부분 노화로 인한 것으로 여기고 간과한다고 합니다. 하지만 방치하면 심각한 부정맥, 뇌졸중 등의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어서 치료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 미리 어떤 질환인지 심장판막증 수술비용은 어느정도 있지 확인해 둘 수 있었으면 합니다.
어떤 질환인가요? 심장에는 혈액을 흐르게 하기 위한 승모판막, 삼첨판막, 대동맥판막, 폐동맥판막 이렇게 4개의 판막이 있으며 판막은 혈액이 역류하지 않고 한쪽 방향으로 잘 흐르게 하는 밸브의 역할을 해줍니다. 밸브 역할을 하는 판막이 손상되거나 제대로 닫히지 않으면 혈액이 정상적으로 흐르지 않아 피로, 호흡곤란, 가슴 두근거림 등이 발생하는 것을 심장판막증이라고 합니다.
심장판막증 증상이 발생하는 이유가 있나요? 선천성 및 후전성 원인이 있으며 승모판 협착증은 대부분 류마티스열로 인해 발생하며 폐동맥 협착증은 대부분 선천성입니다. 최근에는 고령화로 인해 퇴행성 판막질환자가 늘고 있으며 세균으로 인한 판막질환의 경우 나이 상관없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대표적인 심장판막증 증상으로는 피로, 흉통, 가슴 두근거림, 호흡곤란 등이 있습니다. 서서히 병이 진행되기 때문에 자각 증세가 거의 없는 경우도 있으며 이때문에 발견이 늦어지는 경우도 있습니다. 또한 문제가 생긴 부위에 따라 발생하는 증세가 다르며 종류에 따라 심장판막증 수술비도 달라집니다. 특히 많이 발생하는 심장판막증으로는 대동맥 판막 협착증, 승모판 폐쇄 부전증, 대동맥 판막 폐쇄 부전증, 승모판 협착증이 있습니다.
대동맥판막 협착증이란? 고령화 사회와 함께 증가하고 있는 심장판막증으로 70세 이후 심장에서 잡음이 있다고 하면 의심할 수 있는 질환 중 하나입니다. 심장 출구에 있는 대동맥 밸브가 협착으로(혈액의 통로가 좋아지는) 인해 심장에 충분한 혈액을 펌프 할 수 없어서 발생합니다. 병이 진행되면 갑자기 사망할 수도 있기 때문에 수술이 필요합니다.
대동맥판막 협착증으로 인한 증상은? 실신, 호흡곤란, 흉통이 있습니다. 심장의 압력이 높아지기 대문에 폐에 부담이 걸려 호흡곤란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또한 심장에서 나가는 혈류가 줄기 때문에 뇌의 혈류도 감소해 현기증이나 실신을 일으킬 수도 있습니다. 계단을 오를 때, 달릴 때 가슴 통증이 발생하며 심할 경우 드물지만 돌연사의 위험도 있습니다.
승모판 폐쇄 부전증이란? 최근 증가하고 있는 심장판막증 증상입니다. 승모판이 제대로 닫히지 않아 심장내 피가 역류하고 좌심실과 좌심방이 비대해지는 것입니다. 혈액이 폐 쪽으로 역류하면 답답함 등의 호흡곤란이 발생하게 되며 부정맥, 가슴 두근거림, 현기증 등도 나타납니다.
대동맥 판막 폐쇄 부전증이란? 대동맥 판막 역류 질환이라고도 하며 대동맥 판막이 열린 제대로 닫히지 않아 혈액이 다시 대동맥에서 좌심실로 역류하는 질환을 말합니다. 병이 악화 될 때가지 특별한 증상이 없으며 계단을 오를 때, 달릴 때, 심하게 몸을 움직일 때 권태감과 호흡곤란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드물게 가슴통증이 발생하기도 하며 중증화되면 현기증이나 실신을 일으킬 수도 있습니다.
승모판 협착증이란? 좌심실로 들어간 혈액이 좌심방으로 역류하는 것 방지하는 승모판막이 좁아지는 질환입니다. 90% 이상이 류마티스열병 후유증이지만 드물게 선천성이나 노화로 인해 발생하기도 합니다. 증상으로는 몸을 움직였을 때 호흡곤란이 나타나며 혈액순환이 잘 안되기 때문에 부종이나 식욕저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그 밖에도 심장에서 나가는 혈액이 부족해 쉽게 피로 합니다. 또한 부정맥이 발생하기 쉽고 가슴 두근거림, 현기증을 느낄 수 있습니다. 심장에 혈전이 생기면 뇌졸중 같은 심각한 혈전 색전증이 발생할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의심되는 심장판막증 증상이 있다면 정확하게 검사를 받고 치료를 시작해야 합니다.
심장판막증 수술비용은 얼마나 되나요? 수술비용은 병원에 따라 그리고 수술형태에 따라 다르다고 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심장판막증 수술비용 건강보험이 적용이 되어 500만원 안팎이라 할 수 있는데요. 문제는 이것만 드는것이 아니라 입원비에 각종 검사비가 포함되다보면 결국 심장판막증 수술비용 천만원 안팎이라 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TAVI 라고 초고령환자나 폐 등 다른 장기 기능이 좋지 않은 환자,전신마취 하기 힘든 환자들을 위한 심장판막증 수술비용은 건강보험이 적용이 되지 않다보니 환자가 전액 부담해야하며 이 경우에는 3000만원정도가 된다고 할 수 있습니다. 심한 판막 질환의 근본적인치료는 수술입니다. 그러나 가벼운 심장판막증 증상이라면 수술이 필요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정확한 진단이 가장 중요합니다.
'건강 정보 > 건강 챙기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프로바이오틱스의 효능 부작용 (0) | 2017.10.01 |
---|---|
명치가 아픈 증상 원인 (0) | 2017.09.30 |
감잎차 효능 만드는법 (0) | 2017.09.20 |
구강암 증상 원인 (0) | 2017.09.20 |
임신주수 계산법 알기 (0) | 2017.09.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