술먹고 얼굴빨개 지는 이유

반응형

술을 아주 조금 마셔도 얼굴이 붉어지는 편인데요 마치 홍당무처럼 빨개진 얼굴은 좀처럼 제 피부 색으로 돌아오지 않더라고요. 술먹고 얼굴빨개진 모습은 제가 보기에도 별로입니다..  한 모금만 마셔도 금방 새빨갛게 되고 얼룩덜룩 해지기 때문에 술을 마셔야 하는 자리가 있으면 피하게 되네요.. 술먹고 얼굴빨개지는걸 보면 주변에서는 건강에 문제가 있는 건 아니냐고 걱정해주는 사람도 있는데 정말 어디가 안 좋을걸까요.

 

 

술먹고 빨개지는건 유전일 가능성도 있어요. 주위를 둘러보세요.. 혹시 아버지, 어머니 형제, 자매 중 술을 마시면 빨개지는 사람이 있지 않은가요? 생각해 보니 한 사람만 제외하면 모두 알코올만 들어가면 홍당무가 되는 것 같아요.

 

 

사람마다 알코올 분해 능력이 달라서 그래요. 알코올이 우리 몸에 들어가면 위와 간에서 1차 분해되고 이때 알코올 분해효소가 작용하여 알코올이 아세트알데히드라는 물질로 변하게 되는데요. 이 아세트 알데히드가 제대로 분해 되지 않으면 얼굴이 빨개진다고 합니다.

 

아세트알데히드가 아세트산으로 변하려면 아세트알데히드 분해효소가 필요한데 아시아인과 얼굴이 빨개지는 사람의 경우 적거나 거의 없다고 해요. 알코올보다 독성이 강하다는 아세트알데히드가 분해되지 않고 몸에 계속 남아 있으면 혈관을 팽창시켜 얼굴을 빨갛게 할 뿐만아니라 건강에도 안 좋은 영향을 미친다고 하는데요. 때문에 음주 후 얼굴이 빨개지는 사람은 과음을 하지 않는 것이 좋다고 합니다.

 

 

고혈압의 위험이 높아져요. 한 잔만 마셔도 유난히 붉어진다면 알코올이 몸속에서 잘 분해되지 않는 사람인데요. 분해되지 않은 알코올이 몸 속에 들어가 혈관을 넓히면 다시 원상태로 돌아가기 위해 우리몸에서 혈관을 수축시키는데 이 과정이 혈압을 올리는 원인이 됩니다.

 

따라서 얼굴이 붉어지는 사람은 고혈압 위험도 더 높은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쉽게 붉어지는 편이라면 그렇지 않은 사람의 1/2 정도로 마시는 것이 고혈압, 고지혈증, 복부비만의 위험을 낮추는 방법이에요.

 

 

암의 위험이 높아요. 아세트알데히드는 독성이 강하기 때문에 알코올이 약한 사람이 무리하게 술을 마시면 식도암이나, 인두암의 위험이 그렇지 않은 사람에 비해 높아진다고 해요. 얼굴이 바로 붉어지는 체질이면서 음주와 흡연을 하면 음주도 흡연도 하지 않는 사람에 비해 식도암에 걸릴 위험은 높아진다니 더욱 주의하셔야 겠습니다.

 

 

얼굴이 바로 붉어지는 사람 대부분을 술에 약한 체질이라고 말할 수 있는데요. 그렇다고 난 얼굴이 붉어지지 않기 때문에 술에 강한체질은 아니라고 합니다. 

 

 

알코올에 강한지 약한지를 알 수 있는 방법이 있는데요. 알코올(70%)를 거즈에 묻힌 다음 팔꿈치 안쪽이나 겨드랑이 중간 등 피부의 부드러운 곳에 7분 정도 붙이고 있다가 제거한 다음 약 10분 후에 반응을 보면 된다고 합니다. 거즈를 붙이고 있었던 부분이 붉어졌다면 술에 약한사람입니다.

 

 

조금이라도 붉어지는 것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공복에 마시지 않고 우유나 유제품 등을 미리 먹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틈틈이 물을 마시고 도수가 낮은 것으로 천천히 마시는 것도 방법이지만 술먹고 얼굴빨개지는 사람은 건강을 위해서라도 마시는 양을 줄이는 것이 어떨까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