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관지 천식 증상은 아닐까요 콜록콜록 기침이 나오고 숨이 쉬기 힘들 경우 가장 먼저 기관지 천식으로 인한 증상을 의심하게 되는데요. 만성호흡기질환인 기관지 천식은 흔한 질병 중 하나로 증세가 매우 고통스럽고 재발이 잦아서 꾸준한 관리가 중요한 질환입니다. 때문에 미리 기관지 천식 증상에 대해 알아두고 초기증세가 나타났을 때 서둘러 치료받는 것이 좋습니다.
기관지 천식이란 공기 통로인 기도에 염증이 생겨 작은 자극에도 기관지가 수축해 기침, 가래, 호흡곤란, 천명음(쌕쌕거리는 소리)을 동반하는 질환인데요. 기도에 염증이 생기면 기도가 좁아져 공기가 지나가기 어려워지며 자극에 민감해져서 먼지나 스트레스 등에도 발작증세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질병을 예방하고 개선하기 위해서는 원인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한 만큼 기관지 천식 증상이 발생하는 이유를 확인하세요.
원인으로는 유전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이 있는데요. 유전적 요인이 있는 사람의 기관지에 알레르기 물질이 들어가면 발생하기 쉽습니다. 환경요인으로는 꽃가루, 집먼지 진드기, 동물의 털, 곰팡이, 바퀴벌레, 음식 물 등이 있으며 기관지 천식을 악화시키는 것으로는 찬공기, 감기, 대기오염, 담배연기와 스트레스가 있어요.
특히 봄철에 기관지 천식 증상을 호소하는 분들이 많은데요. 황사와 미세먼지가 심해지고 낮과 밤의 기온차가 심해 감기에 걸리기 쉽기 때문이에요. 게다가 꽃가루까지... 봄에는 증세를 유발하고 악화시키는 요인이 많기 때문에 더욱 주의가 필요합니다.
원인에 따른 대처법을 확인해두세요. 집먼지 진드기가 원인이라면 이불과 매트리스, 베개 등을 청결하게 해주셔야 하는데요. 집먼지 진드기는 습하고 먼지가 많은 곳에서 잘 번식하며 피부각질이나 비듬을 먹고 살기 때문에 가끔은 이불과 베개를 햇볕에 말려 살균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꽃가루 또한 기관지 천식을 일으키는 원인으로 꽃가루가 날리는 날에는 외출을 삼가하고 외출 시에는 마스크를 착용하는 것이 좋아요. 기후 변화 또한 증세를 악화시킬 수 있어서 주의가 필요한데요. 갑자기 찬공기에 노출되지 않도록 마스크를 착용해 예방하는 것이 좋습니다.
그 밖에 기관지를 수축시켜 기관지 천식 증상을 악화시키는 담배연기를 피하고, 감기에 걸리지 않도록 해야 하는데요. 감기에 걸리게 되면 천식 발작이 일어날 수 있어서 감기가 유행하는 시기에는 예방접종을 받고 개인위생을 철저히 관리해야 합니다. 기관지와 폐에 좋은 차를 챙겨마시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기관지에 좋은 음식으로는 배, 도라지, 오미자, 더덕 등이 있어요.
어떤 증세가 나타나는 걸까요?
기침이 콜록콜록 발작적으로 발생하며 한번 시작하면 그칠 줄 모릅니다. 또한 낮 보다는 밤이나 새벽에 심해지는 특징이 있어요. 이외에도 숨을 들이 마시고 내쉴 때 쌕쌕거리는 소리가 나고 기도가 좁아지면서 공기 흐름이 나빠져 목에 가래가 걸린 듯 답답한 느낌이 들어요.
심해지면 가슴이 조이는 듯한 느낌이 들며, 밤에 숨이 차고 기침이 발생해 수면에 방해를 받을 수도 있습니다. 심할 경우에는 전혀 숨을 쉴 수 없을 정도가 되어 의식을 잃고 응급실로 실려 올 수도 있어요. 증세는 가벼운 것부터 무거운 것 까지 다양하며, 중증의 경우에는 잘못 대처하면 위험할 수 있기 때문에 의사의 지시에 따라 올바른 치료를 꾸준히 해야 합니다.
혹시 기관지 천식 증상은 아닐까 걱정된다면 자가진단을 해보세요
1. 담배연기, 차가운 공기, 자극적인 냄새에 노출되면 숨이 차고 기침이 발생하며 가슴이 답답합니다.
2. 감기를 앓고 나서 한 달 이상 기침이 계속되고 있습니다.
3. 기침이나 쌕쌕거리는 숨소리가 나며 쉽게 사라지지 않고 반복 됩니다.
4. 잠을 자다가 심한 기침 또는 숨이 차서 깬 적이 있습니다.
5. 가족 중에 기관지 천식환자가 있으며 간혹 가슴이 답답하거나 숨이 찬 증세가 있습니다.
1개라도 해당되는 것이 있다면 정확한 진단을 받아보는 것이 좋아요.
기관지 천식 치료 방법을 확인해 두세요
만성적이고 재발이 잦은 기관지 천식 치료를 위해서는 약물, 면역, 환경 요법을 사용하게 되는데요. 약물요법을 통해 증상을 완화시키고 재발을 방지하게 됩니다. 약이 효과가 없고 부작용이 생겼을 때에는 알레르기원을 찾아 원인물질에 노출되어도 알레르기반응을 일으키지 않도록 체질을 바꾸는 면역요법 치료를 받을 수도 있어요.
환경요법으로는 어떤 것들이 있나요
1.알레르기 원인 물질에 노출되지 않도록 합니다
(집먼지 진드기, 곰팡이, 바퀴벌레, 동물의 털, 금연, 자극물질, 찬공기 등)
2. 적절한 환기와 청소를 통해 청결을 유지합니다
3. 꽃가루가 많이 날리고 황사가 심한 날엔 외출을 삼가합니다
4.감기와 독감을 철저히 예방합니다
감기 또는 독감에 걸리면 점막이 염증을 일으켜 더욱 과민해지기 때문에 천식 증상이 발생하고 폐렴을 일으키거나 상태가 악화될 수 있어요. 따라서 감기와 독감이 유행할 땐 외출을 피하고 외출시에는 마스크를 착용하고 손을 자주 씻는 것이 좋습니다. 천식 환자의 경우 미리 예방접종을 받아두는 것이 좋아요.
5.술과 담배는 원칙적으로 금지합니다
6.피로와 스트레스를 모아두지 않습니다.
이 두 가지는 기관지 천식 증상의 원인이면서 악화 요인이라서 주의가 필요해요.
천식 초기에는 감기와 비슷한 증세라서 가볍게 여기고 무시하는 분들이 있는데요. 만성이 되면 호흡곤란, 심한 기침은 물론 여러가지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의심될 경우에는 서둘러 진단받고 지속적으로 천식 증상을 치료, 관리해야 합니다.
'건강 정보 > 건강 챙기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녹내장 증상 실명 확률 (0) | 2017.05.30 |
---|---|
기면증 증상 원인 (0) | 2017.05.25 |
이석증 증상 원인 (0) | 2017.05.18 |
호르몬 불균형 증상 정리 (0) | 2017.05.17 |
심혈관질환 증상 알기 (0) | 2017.05.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