협심증초기증상 자가진단

반응형

협심증초기증상은 아닐까 자가진단을 통해 확인하여 심근경색을 예방할 수 있었으면 합니다. 협심증을 의심할 수 있는 초기증상으로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증상에 대해 궁금해 하는 분들이 많은데요. 협심증 초기에는 별다른 증상이 없지만 협심증이 진행되어 혈관이 점점 좁아지면 숨이 차고 가슴 통증이 나타날 가능성이 큽니다. 협심증초기증상은 거의 없지만 의심할 수 있는 증세도 있으니 확인하여 서둘러 대처할 수 있었으면 합니다.

 

 

아침에 운동을 하거나 계단을 오르내릴 때 가슴 통증이 있다면 협심증을 의심해 볼 수 있는데요. 협심증초기증상은 아침에 나타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에요. 가슴을 쥐어짜는 듯한 통증이 느껴지는데 몇 분후 사라지기 때문에 무시하고 넘기는 분들도 있습니다. 운동, 스트레스, 추위 등에 통증이 악화 되고 휴식을 하면 나아진다면 협심증을 의심해보세요.

 

 

어떤 질환인가요? 심장 혈관의 수축으로 심장 근육에 충분한 혈액이 공급되지 않아서 생기는 가슴통증이랍니다. 노화, 불규칙한 생활습관 등으로 혈관벽에 콜레스테롤이 쌓이면 혈관이 좁아지고 혈액이 충분히 흐르지 않게 되는데요. 그러면 심근세포에 산소가 전달되지 않아 흉통이나 흉부압박감을 느낄 수 있습니다.

 

 

협심증의 가슴통증 증상은 길어도 15분 정도면 사라집니다. 다만, 관상동맥이 더 좁아지고 혈관을 완전히 막으면 그 부분의 심근 세포가 괴사되며 이를 심근 경색증이라고 합니다. 심근경색으로 진행되지 않도록 협심증초기증상이 의심될 경우 정확하게 진찰받아보는 것이 필요해요.

 

 

원인에 대해 자세히 알아볼까요? 협심증은 심장에 혈액을 보내는 동맥이 어떠한 원인으로 좁아지거나 막혀서 심장에 제대로 혈액이 전해지지 않아 발생합니다. 즉 동맥경화증이 협심증의 원인이 되며 동맥경화를 악화시키는 요인으로는 고혈압, 당뇨, 흡연 등이 있습니다.

 

 

협심증은 고혈압, 고지혈증, 당뇨병, 비만, 운동부족, 흡연, 서구화된 식생활, 과도한 스트레스 등 여러가지 원인으로 발생하게 되며, 생활습관에 영향을 받기 때문에 협심증을 예방하고 초기에 개선하기 위해서는 잘못된 생활습관을 개선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협심증의 증상인 가슴통증은 어떤 느낌인가요? 협심증으로 인한 통증은 사람마다 다르게 느끼며 대부분 아래와 같은 느낌이 든다고 합니다
가슴을 쥐어짜는 듯한 느낌이 든다
뻐근하다
무거운 것에 눌리는 느낌이다
숨이 차고 가슴이 터질 것 같다

 

 

가슴통증은 오래가지 않아요. 협심증 발작의 지속시간은 비교적 짧으며 2~10분 정도 지속되다 사라집니다. 길어도 10분 정도이며 만약 강한 흉통이 15분 이상 지속된다면 심근경색을 의심할 수 있어요.

 

 

통증의 느낌을 다르지만 공통점은 갑자기 찾아온다는 것이고 몇 분 지속되다 멈춘다는 것이랍니다. 통증이 멈추기 때문에 안심하고 넘기는 경우도 많은데 내 몸에서 보내는 신호라고 하니 무시하고 넘기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협심증에서 심근경색으로 진행되지 않도록 초기증상에 주의해주세요. 

 

 

협심증의 또다른 초기증상으로는 팔과 어깨, 목통증이 있는데요. 팔과 어깨의 통증을 머리에 전하는 신경과 심장에서 나오는 통증을 전달하는 신경이 중간에서 만나기 때문에 다른 곳에서도 통증을 느낄 수 있다고 합니다.

 

 

돌연사를 피하기 위한 협심증 자가진단
최근 1년 사이 가슴 통증을 느낀적이 있어요
계단이나 언덕을 조금만 올라도 숨이 차요
과식을 하면 가슴 중앙이 뻐근하고 답답해요
무거운 물건을 들어올릴 때 흉통이 심해요
날씨가 춥거나 아침에 가슴통증이 심해요


만약 자가진단 결과 3개 이상 해당되면 협심증을 의심하고 진찰 받아보는 것이 좋습니다.

 

 

예방할 수 있는 방법은 없을까요. 협심증을 예방하는 방법은 동맥경화를 예방하는 것으로 금연을 하고 균형 잡힌 식사를 하고, 적당한 운동을 해야 합니다. 흡연을 하면 혈관의 수축과 혈액의 응고가 진행되어 동맥경화를 일으키기 때문에 금연을 하는 것이 좋아요.

 

 

스트레스 또한 주의해야 하는데요. 과도한 긴장이나 스트레스 등도 심장에 큰 부담이 되기 때문에 자신에게 맞는 기분 전환 방법을 찾는 것이 필요합니다. 걷기 운동의 경우 부담이 없고 동맥경화와 초기 협심증 예방에 효과적이니 주 4회 30분 이상은 할 수 있었으면 합니다. 협심증초기증상이 거의 없지만 가슴통증이 발생할 경우 의심해 보고 정확하게 진찰받아보는 것이 좋습니다.

반응형